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몸의 뼈, 특히 연골 부분이 닳으면서 관절과 관련된 질환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질환들과 정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징적으로 손가락 관절 이상 증상인 '헤베르덴 결절'이나 '부샤르 결절'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오늘은 가장 흔한 관절 질환인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검사, 치료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관절염 병태생리
골관절염은 연골이 닳아서 점차 없어지는 질환을 일컫습니다. 연골은 각 뼈의 끝부분을 덮음으로써 뼈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연골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점차 없어지는 것이 큰 병태생리입니다. 골관절염은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발병률이 증가하여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40대가 되면 대부분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찾아옵니다. 60세 이상이 되면 절반이 넘는 비율로 골관절염 증상이 나타납니다. 골관절염은 크게 일차성(원발성) 골관절염과 이차성 골관절염으로 나뉩니다. 원발성이란 뚜렷한 원인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일컫습니다. 반대로 이차성은 명확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원발성 골관절염은 관절 한 두 군데서만 발생하는 국한성과 몸의 여러 관절에 관절염 증상이 나타나는 전신성으로 다시 분류됩니다. 국한성이 가장 흔합니다. 사실 골관절염은 우리 몸의 어느 관절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손가락, 척추, 무릎 관절에 흔하게 발생합니다. 무릎에는 과거에 외상이나 자극을 받았다면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릎은 체중의 하중 영향을 제일 많이 받으므로 비만 여부도 원인으로 중요합니다.
검사
골관절염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나 의사가 간단하게 진찰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검사 및 판단이 가능합니다. 엑스레이 촬영은 대상자가 골관절염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뼈가 커지지 않았는지, 관절강이 협착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엑스레이는 가장 초기의 연골 비정상적인 변화 여부는 보여주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엑스레이만으로는 골관절염을 초기에 진단내리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엑스레이가 골관절염 유무를 가려주는 것은 사실이나 환자의 증상이 심각한 정도와는 정확하게 부합하지 않습니다. MRI는 골관절염 진단에 그닥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사실 통증은 사람마다 전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는 엑스레이 사진이 좋습니다. 사진으로 골관절염 이상 소견이 나와도 통증은 호소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검사 방법으로는 혈액검사나 관절액을 직접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특별한 원인 때문에 발병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됩니다. 혈액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변별하는 데 도움이 되고, 관절액 검체 채취는 통풍 등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제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가장 중요한 치료제는 운동입니다. 꾸준한 운동은 관절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연골에 영양분이 잘 공급되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운동 방법은 오히려 연골을 약하게 만드므로 정확한 운동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관절 통증이 더 심해지지 않는 수준 내에서,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 운동은 하루에 여러번 계속해서 움직여야합니다. 운동은 관절이 굳는 것을 예방하고 관절 주위 근육을 강화시킵니다. 덕분에 관절의 기능이 최대한 보존될 수 있는 것입니다. 운동은 규칙적으로 해야 효과가 있으며 약한 강도에서 점차 강도를 서서히 증가시켜야 합니다. 치료제 중 약물은 운동 요법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약물 단독으로는 골관절염의 증상을 유의미하게 변화시키지는 못합니다. 통증을 감소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덕분에 환자가 일상 생활에서 더 많은 움직임을 가능하게끔 만들어줍니다. 경증부터 중증도 수준의 통증은 움직이는 활동 전 불편함을 초래하는 상황을 미리 막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장기적으로 관절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꾸준히 단순한 진통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진통제와 더불어 소염진통제도 자주 사용됩니다. 스테로이드를 관절강에 주사하는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골관절염이 심한 경우 1년에 3번 정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절강에 물이 찬 경우에만 효과가 있습니다.
댓글